이전에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대출 관련하여 글을 쓴 적이 있는데, 최근 디딤돌 대출과 버팀목 대출 신혼부부 대상 연 소득 기준이 1천5백만 원 증가하고 금리가 변동되어 공유하려고 한다.
디딤돌, 버팀목 23년 10월 개정사항
신혼부부 연 소득기준과 금리가 변동되었다.
신혼부부 연 소득기준 상향
신혼부부 주택 구입자금 대출인 디딤돌과 전세자금 대출인 버팀목 대출 시 소득요건이 이전에 비해 1,500만 원 상향되었다.
● 디딤돌 대출 신혼부부 소득 요건 : 8,500만 원
● 버팀목 대출 신혼부부 소득 요건 : 7,500만 원
안타깝게도 신혼부부 요건을 지니지 못하는 부부의 경우 이전 소득요건을 그대로 따라간다.
금리 변동
소득기준이 바뀜에 따라 금리와 그 구간도 변동되었다.
● 디딤돌 대출 금리 : 2.45%~3.55%
● 버팀목 대출 금리 : 2.1%~2.9%
이 외 대출 시 주택 가격 및 보증금 요건, 대출한도 등은 이전과 같으니 아래 포스팅에서 상세한 내용 참고하면 좋겠다. 추가로 소득 1억 3천만 원 이하 출산 부부에 대해 금리(디딤돌 : 1.6%~3.3%, 버팀목 : 1.1%~3%)로 대출해 주는 신생아 특례 구입, 전세 대출은 내년 초 시행 예정이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면 된다.
관련 글 보러 가기
청년 미혼, 부부 만 19~34세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한도, 버팀목 디딤돌 비교, 미혼 전세자금 대출,
저번에 청년, 미혼 가구, 신혼부부 등 주택 구입 시, 대출 가능한 상품으로 디딤돌 대출을 알아보았다. 오늘은 주택 구입이 아닌, 전세 자금 대출을 위한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 함께
heympost.com
디딤돌 대출, 미혼 단독 1인가구 세대주, 신혼부부, 생애최초, 만 30세 미만 상황별 금리 정리, 디
이사 시기가 다가오면서 대출상품을 많이 알아보고 있다. 미혼이면서 세대주이며 연 소득 6,000만 원 이하인 경우 매매와 전세 선택에 따라 아래 두 가지 상품을 두고 고민을 가장 많이 할 것 같
heympost.com
신생아 특례 대출, 분양 : 공공, 민간 분양, 공공임대 특별 우선 공급, 신생아 특례 구입 자금 대
우리나라 저출산 문제에 대해 요즘 심각성을 느낀다. 소멸할 국가 중에 하나라는 얘기가 나올 만큼 출생률이 낮은데, 정부에서 다급한지 저출산 해결을 위한 주거 지원 방안을 내놓고 있다. 신
heympost.com
댓글